국내 스마트팜 도입률 1.48% 불과
국내 스마트팜 도입률 1.48% 불과
  • 권성환
  • 승인 2024.03.27 10:4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소규모 기업 대다수 차지 산업생태계 구축 미흡
관련 법령 제·개정 추진 통해 기업 유치 활성화해야

전세계적으로 기후위기, 식량안보 등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스마트팜’이 미래 산업으로 각광 받고 있지만, 국내 농가 스마트팜 도입률은 1.48%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는 지난 25일 발간한 ‘우리나라 스마트팜 산업 활성화 전략’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스마트팜은 기후 등 식물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통제해 작물을 재배한다. 기후 변화에 따른 식량 안보, 영농 효율성 제고에 따른 농촌 소득 증대 등의 방면에서 긍정적인 역할이 기대되는 분야다.

하지만 국내 농업 구조는 소규모 영세 농가들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고, 스마트팜 산업의 경우에도 소규모 신생 기업 위주로 이뤄져 있어 스마트팜 산업생태계 구축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협협회가 스마트팜 기업 90개 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사업장 규모가 50인 미만인 기업이 94.4%를 차지했으며 2015~2020년 창업한 신생 업체 비율도 77.8% 였다.

응답 기업들은 스마트팜 산업 활성화가 어려운 원인으로 ▲높은 초기비용(42.9%) ▲대규모 자본 유입의 어려움(22.9%) 등을 지목했다. 

이에 보고서는 스마트팜 생태계 조성을 촉진하기 위해 국내 농가의 규모화·전문화·첨단화를 추진해야 하며, 기업과 농가가 유기적으로 협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특히 스마트팜 시설구축 비용, 작물 채산성 확보를 위한 기술 개발 등 초기 투입 비용을 상쇄할 수 있는 대규모 자본 운용이 가능한 기업의 참여를 촉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산업 활성화를 위해 ▲농지법 등 관련 법령 제·개정 추진 통해 기업 유치 활성화 ▲농협 기능 확대 및 농민 펀드 활성화 등 농가 중심의 혁신을 통한 스마트팜 산업 활성화 ▲기술 개발·인재 양성을 통한 산업경쟁력 확보 등의 전략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국무역협회 관계자는 “스마트팜은 기후변화 및 식량안보 이슈에 대응할 수 있는 유망 산업이지만, 국내 스마트팜 산업은 충분히 활성화되지 않았다”면서 “스마트팜 산업의 생태계 조성과 수출 경쟁력 제고를 위한 적극적인 기업 투자와 농가 참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