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농기원, 갑작스런 저온과 건조한 바람 피해 예방 당부

도 농업기술원 포도연구소가 지난해 발생한 동해피해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포도나무 웃자람, 저장양분 부족, 조기낙엽 등의 재배관리 부실에 의하여 피해를 받는 비율이 50∼60%로 나타났으며, 나머지는 포도나무의 휴면이 타파된 2월 중순부터 4월 하순까지 발아 전 기간 중에 차고 건조한 바람에 의하여 말라 죽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우리나라 기후 특성상 3월부터 4월 상순에 차고 건조한 바람이 많이 부는 시기로 이때에 토양수분을 빼앗겨 포도의 가는 뿌리가 위조점(시들어 회복하지 못하는 점)에 다다르며, 포도나무의 줄기도 수분 증발이 심한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따라서 이 시기에는 재배형태와 관계없이 전정 후 7∼10일 간격으로 토양 속 25∼30cm까지 물이 스며들도록 물주기를 해야 한다.
충북농업기술원 포도연구소 이석호 환경이용팀장은 “찬바람에 의한 고사뿐 아니라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병해충 발생 양상도 달라져 전정 후 포도나무 껍질 벗기기를 하여 깍지벌레류를 방제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