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농산물 중 무기비소·유기수은 미세한 수준까지 분석
|  | |
| ▲ 시료 전처리 장면 | |
|
농촌진흥청(청장 김재수)이 농산물 중 화학종별 극미량 중금속을 분석할 수 있는 새로운 분석법을 개발했다.이번에 개발한 분석법은 독성이 매우 강한 무기비소와 유기수은을 미세한 수준까지 분석할 수 있는 기술로, 그동안의 농산물 중 중금속 분석을 한 단계 뛰어넘는 수준이다. 농산물에 존재하는 중금속은 화학적 상태에 따라 인체에 미치는 독성과 위해성이 다르며, 특히 비소와 수은은 화학종별로 독성 차이가 매우 크다. 하지만 기존의 중금속 일반 분석법으로는 독성이 매우 강한 무기비소와 유기수은을 분석할 수 없어 이들 중금속에 대한 분석법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었다. 이 분석법은 무기비소의 경우 ‘액체크로마토그래프(HPLC)’와 '유도결합플라즈마/질량분석기(ICP/MS)'를 이용해 3.71~5.28ppb까지 분석이 가능하다. 또한 유기수은은 ‘가스크로마토그래피(GC)’와 ‘원자형광분광기(AFC)’를 이용해 0.5ppt까지 분석할 수 있다.특히 이 분석법을 이용해 지난 2007년과 2008년 생산된 쌀 77점을 분석한 결과, 0.31~0.0ppb의 유기수은이 검출되었으며, 이는 매우 낮은 수치로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진흥청 유해화학과 임건재 과장은 “최근 국제적으로 식품에 대한 중금속 허용기준을 화학종별로 세분화하는 추세”라며 “이번 분석법 개발로 농산물의 안전 생산지원과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의 농산물 중 중금속 기준 강화에 신속한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